본문 바로가기

학문적 고찰3

인문학에 대한 개념과 상식(3) 지난 시간까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류사의 각 분야에서 인문학의 영향과 위상에 대해 논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지막으로 인문학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는 철학의 관점에서 인문학을 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기반성적 차원에서의 시민권 형성 인문학에서 논해져 온 자기중심적 정당화는 19세기 후반 이후로 자기에 대한 반성의 시각을 돕고 이를 장려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결국 개인적 의식과 시민적인 의무감을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데 도움이 되는 자기반성이라 하겠습니다. 독일의 철학자였던 빌헬름 딜타이와 한스 조지 가다머는 자연적 과학과 구분지으려는 인문학적 시도를 두고 인류가 자신의 경험을 스스로 이해하고자 하는 갈망 속에서 생겨난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견해는 이와 유사한 문학적인 배경을 가.. 2023. 7. 8.
인문학에 대한 개념과 상식(2) 인문학에 대한 정의와 개념에 대한 내용을 지난 글에서 논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분야(고전학, 역사, 언어, 법) 이외의 분야에서 논해지는 인문학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고, 해당 분야에서 인문학이 지양해야 할 방향점에 대해 적어보고자 합니다. 학문 각 분야에서의 인문학 5. 문학 문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누구에게나 받아들여지는 공통의 정의를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인문학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의 모든 저작물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라 하겠습니다. 다시말해 문학적인 가치가 있는 저작물과 이 밖에 일반 언어와 대조적인 위치에 있는 문학성의 선구가 되는 입장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어원적인 의미를 살펴보자면, 라틴어의 litteratura(리터레이투라)에서 유래했으나, 일부 정의.. 2023. 7. 7.
인문학에 대한 개념과 상식(1) 인문학은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 그리고 문화적인 측면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먼 과거 르네상스 시대에는 이 학문이 신학과 대비되며, 당시 대학에서 연구되었던 세속적인 학문의 영역 가운데 고전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통칭하기도 했습니다. 인문학의 어원과 역사 오늘날의 인문학은 자연, 사회, (수학 등의)형식 및 응용과 같은 전반적인 분야의 과학 혹은 전문적인 훈련 이외의 모든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들은 대부분 비판적이거나 혹은 투기적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된 자연과학의 주된 경험적 접근과는 차이가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요소를 가집니다. 인문학으로는 주로 외국어, 철학, 문학 등과 같은 언어예술, 역사, 연극 및 춤과 같은 공연예술, 회화 및 조각과 사진같은 시각예술 등이 있습니다. 인문.. 2023. 7. 6.